NOTICE


NOTICE

연동된 핫월렛에서 자산이 보이지 않거나 Send 버튼이 없는 경우

키스톤에서 보여주는 BTC QR코드 주소로 먼저 자산을 받았는데 추후 블루월렛에 연동 후 자산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고객분들이 몇 분 계셔서 이 안내글을 작성합니다.


우선 먼저 키스톤에서 보여지는 주소로 받고 나중에 앱월렛과 연동하는 순서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이미 거래가 완료 되었다면 블록체인상에 고객님의 주소로 자산이 이미 기록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사전에 블루월렛에서 지원하지 않는 주소체계에 자산을 받은 경우 블루월렛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앱 월렛과 연동을 먼저 하셔서 문제가 없는지 확인한 후 자산을 받는것이 바람직합니다.

키스톤은 일종의 계산기와 같습니다.
계산기가 1+1은 2를 만들어내듯이 고객님만의 엔트로피(니모닉)를 바탕으로 정확한 파생 코드들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키스톤이 엉뚱한 주소를 만들어낼 가능성은 없습니다.


키스톤이 보여주는 주소 QR코드로 자산을 받았다면 고객님의 것이 확실하니 일단은 안심하셔도 됩니다.
다만 고객님께서 사용 중 간과(실수) 하셨을 가능성에 대해서 아래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자산을 받았던 지갑이 아닌 다른 지갑으로 연동된 경우
키스톤은 3개의 지갑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패스프레이즈를 설정한다면 총 6개의 지갑이 될 수 있습니다.
앱월렛과 연동된 지갑이 맞는지 쉽게 확인하려면 연동 후 앱 월렛에서 받기 주소와 키스톤에서 보이는 주소가 동일한지 확인해 보면 됩니다.
일치하지 않는다면 다른 지갑으로 연동된 것입니다.




패스프레이즈 연동 후 기본 지갑으로 연동된 경우
키스톤의 패스프레이즈 기능은 히든 지갑의 역할을 합니다.
원래의 목적은 누군가로부터 강제로 지갑을 열도록 협박을 받을 경우 기본지갑(니모닉으로만 구성된)을 오픈하고 히든지갑(Passphrase) 지갑을 보호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패스프레이즈는 지갑이 저장하고 있지 않습니다. 때문에 기기가 다시 켜진 후에는 매번 Passphrase를 입력하고 진입해줘야 합니다.
이 내용을 간과하고 패스프레이즈 지갑 상태로 자산을 받고 패스프레이즈 지갑이 아닌 상태로 앱 월렛과 연동된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 키스톤이 현재 패스프레이즈 진입 상태인지 확인하시는 방법은 Wallet Settings - Seed Phrase Check 메뉴를 눌러보시면 됩니다.




패스프레이즈를 잘못 입력한 경우
패스프레이즈는 매번 입력해야 하는 만큼 오류가 없이 정확해야 합니다.
패스프레이즈는 대소문자를 구분하고 특수문자도 입력이 가능하기에 잘못 입력하고 진입한다면 전혀 다른 지갑으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패스프레이즈 진입 후 기존에 받았던 주소가 아닌 다른 주소가 보인다면 패스프레이즈 입력의 오류입니다.패스프레이즈 설정은 보안성이 높아지지만 한 사람의 기억에만 의존하기에는 위험성이 따릅니다.




비트코인 주소 유형의 문제


Taproot - Sparrow 사용 가능
P2TR(m/86'/0'/0') : 주소가 "bc1p"로 시작합니다.
2021년 도입된 이 유형은 트랜잭션의 효율성과 프라이버시를 대폭 개선하였지만 아직 호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Native SegWit  - BlueWallet, OKX 사용 가능
P2WPKH(m/84'/0'/0') : 주소는 "bc1q"로 시작합니다.
트랜잭션 처리를 최적화하여 낮은 수수료와 향상된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Nested SegWit -  OKX 사용 가능
P2SH-P2WPKH (m/49'/0'/0') : 주소는 숫자 "3"으로 시작합니다.
다중 서명 지원과 수수료 절감이 가능하며, 세그윗과 레거시 주소의 하이브리드 형태로 호환성이 좋습니다. 


Legacy - OKX 사용 가능
P2PKH(m/44'/0'/0') : 주소는 숫자 "1"로 시작합니다.
가장 초기 주소 형식입니다. 호환성이 가장 좋지만, 비교적 높은 수수료가 단점으로 꼽힙니다.


블루월렛을 사용하실 고객분들께서는 그 중 Native SegWit 주소체계를 지원합니다.  
지갑에서 BTC 주소가 "bc1q"로 시작하는지 확인 후 블루월렛과 연동하시기 바랍니다.
주소체계를 변경하시려는 경우 메인화면 - BTC 아이콘 선택 - 우측 상단 삼점 - Address Settings - 원하는 주소체계 선택





BTC 자산을 20번째 이후의 주소로 받았을 경우.

어떤 고객분께서 Lucky의 의미로 77번 주소에 자산을 받았는데 블루월렛과 연동 후 자산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블루월렛 등 일반적인 지갑은 보통 20번대의 주소까지 블록체인에서 읽어 들여서 자산을 나타내고 사용하면서 다음 주소를 확장합니다.

따라서 20번대 이후의 주소로 자산을 받은 경우 자산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소는 일반적으로 0번부터 순서대로 사용하시는 게 바람직합니다. 

위 내용을 모르고 20번 이후의 주소를 사용하셨을 경우 고급 사용자 지갑인 Sparrow 지갑을 통해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보안상 멀리 있는 순번의 주소를 사용해야 한다는 조언은 전혀 근거가 없는 말입니다. 





앱 월렛의 서버 문제일 가능성

이 경우 고객님의 실수가 아닙니다.

앱월렛은 자사의 서버에서 블록체인의 거래 결과를 불러들여서 앱에서 보이는 과정이 있습니다.

간혹 블루월렛의 자체 서버에 오류가 있는 경우, 또는 서버 작업등의 딜레이가 있는 경우,

실제 블록체인상의 결과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드물게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타사의 앱(OKX 등)으로 크로스체크해 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추가 오류 가능성에 대해서는 새로운 케이스가 생기면 추가해서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늘 노력하는 키스톤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S CENTER

070-8098-8813 AM 09 :00 - PM 06:00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사업자정보확인
메이컴퍼니(maycompany) ㅣ 대표 LYUHUI ㅣ 전화 070-8098-8813 ㅣ admin@keystone.ac ㅣ 사업자등록번호 843-13-01653 | 통신판매업 : 2021-경기김포-2981호ㅣ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10로 133번길 127 디원시티 지식산업센터 311호

고객센터.  070-8098-8813  AM 09 :00 - PM 06:00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사업자정보확인
메이컴퍼니(maycompany) ㅣ 대표 LYUHUI ㅣ 전화 070-8098-8813 ㅣ admin@keystone.ac ㅣ 사업자등록번호 843-13-01653
통신판매업 : 
2021-경기김포-2981호ㅣ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10로 133번길 127 디원시티 지식산업센터 311호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